본문 바로가기
sharing/복지정보

틀니 접착제 사용법 및 효과와 부작용

by 빛너만 2023. 4. 1.
반응형

건치는 오복의 하나인데 현대인에게 있어서 그 복을 다 가진 사람이 몇 없어 보인다. 우리 집만 해도 아이들부터 어르신까지 치과치료를 안 받는 사람이 없으니. 애들은 충치, 중년의 부모들은 임플란트, 신경치료, 어르신들은 틀니...

요사이 틀니를 새로 하신 친정아버지를 곁에서 지켜보니 아무리 잘 만들어진 틀니라해도 내 몸에 붙어있는 치아처럼 되려면 시간도 꽤나 걸리고 여러 가지 보조제로 관리도 해줘야 한다. 세척을 위한 치약(?)도 그중의 하나이겠고 요사이 그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틀니 접착제가 있다. 오늘은 그 접착제에 대해서 알아보자. 지금 필요 없다고 지나치지 말고 언제 가는 필요하게 되는 때가 올 테니 이참에 자세히 알아보자. 배워서 남 안 주니까. 

 

 

틀니 접착제란

틀니, 즉 가철성 치과 보철물로 크라운이나 브리지처럼 치아에 고정시키는 것이 아닌 환자 스스로 뺏다 꼈다 할 수 있도록 제작된 보철물이다. 그러므로 틀니가 헐거워졌을때 환자들이 틀니 접착제를 사용하여 풀이나 본드처럼 사용자의 잇몸에 고정시켜 틀니가 떨어져 흔들거리는 불편함을 덜어준다. 

친정아버지도 틀니를 마련하시고는 가장 먼저 불편함을 호소하셨던 그 부분이다. 내 몸의 장기처럼 붙어있지 않고 흔들리고 움직이니 음식을 씹으실 때 헐거워진다는 것이다. 다행히도, 틀니를 장만하시고 한 달 후가 되니 새 보정기에 익숙해지셔서 아직 접착제를 필요로하시지 않는다. 

틀니 접착제 사용법

올바른 틀니 접착제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틀니를 잘 세척한 후, 남아 있는 물기를 닦아주세요. 
  2. 틀니 접착제를 콩알만큼만 세군데에서 네 군데 정도 틀니 가장자리에 묻지 않게 틀니에 발라 주세요. 
  3. 틀니를 착용하기 전에 입 안을 깨끗이 헹구어 주세요. 
  4. 틀니가 잘 고정이 되도록 잠시 동안 위, 아랫니를 물고 있어주세요. 

틀니 접착제 효과

틀니 접착제 사용 시 안정, 교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을 한 논문(Abdelnabi)*에 따르면, 잘 만들어진 틀니에 부가적인 접착제의 사용은 사용자에게 안정하고 편안한 틀니 사용에 도움이 되었다고 발표하고 있다. 이로써 틀니 접착제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게 음식을 씹는 과정에서 틀니가 탈락하거나 움직이지 않으므로 안정적이며 편안한 사용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틀니 접착제 부작용

모든 약에는 부작용이 반드시 따르는 법, 아무리 효과가 좋다고 해도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틀니 접착제 역시 유의할 점과 부작용이 알려져 있으니 그것에 대하여 알아보자. 

먼저, 시중 판매되는 틀니 접착제에는 접착력을 위해서 아연(zinc) 성분이 첨가되었다. 아연 성분은 우리 몸에서 과다하게 섭취될 경우에, 손발이 저리거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감각 마비나 균형 감각 저하 등 신경학적 손상을 입을 수도 있으니 유의하여야 한다. 

그래서 틀니 접착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라면, 가능한 아연 성분이 들어있지 않는 (Zinc free) 제품을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게다가 아연 성분이 있다면, 사용할 때 많은 양이 아닌 적당한 양(소량)으로 아연 성분 섭취를 가능한 줄이도록 해야 한다.  

Photo by Anete Lusina: https://www.pexels.com/photo/unrecognizable-person-holding-hand-of-partner-abusively-5723261/

틀니 접착제 추천 브랜드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으로는 Poligrip, Fixodent, 폴리덴트 등이 있으나 zinc free라고 명시되어 있는 제품으로는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다. 

* Abdelnabi MH, Swelem AA, Al-Dharrab AA. Influence of denture adhesives on occlusion and disocclusion times. J Prosthet Dent 2016;115:306-1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