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대표 복지포털 '복지로', 정책브리핑에서 발췌, 인용했습니다.
학교 무상우유 급식, 바우처로 바뀐다…3월부터 시범사업
농식품부, 경기·인천·대전 등서 2만 5000명 학생에 월 1만 5000원 바우처 제공
□ 농림축산식품부는 취약계층 학생들의 낙인효과를 방지하고 유제품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해 3월부터 ‘무상 우유바우처 시범사업’을 실시
º 우유바우처 시범사업: 농식품부가 학교우유급식 사업을 통해 취약계층 학생에게 공급하던 무상우유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바우처(월 1만 5000원)로 대체 제공하는 사업
º 기존의 학교에서 일괄적으로 공급받던 방식 → 학생들이 필요에 따라 직접 편의점·하나로마트에서 국산 원유를 사용한 유제품(흰우유·가공유·발효유·치즈)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변경
□ 지난 1981년부터 약 40년간 유지돼 온 학교우유급식사업은 성장기 학생들의 영양불균형을 해소하고 우유 소비기반을 넓히는 데 기여했으나 흰우유 소비 감소 및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지속적으로 위축되는 추세
º 출산율이 감소해 학생 수가 줄어든 점, 학교우유급식률이 하락하며 무상으로 우유를 지원받는 취약계층 학생들에게 낙인효과가 생긴 점, 흰우유 위주의 공급으로 학생들의 선택권이 제한되는 점을 고려해 이번 시범사업을 도입
º 정상적으로 우유급식이 어려운 도서·벽지 학교의 학생들, 무상 학교우유급식만 실시하는 학교의 학생들에게 멸균유를 가정으로 배송한 결과, 중고 매매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등의 악용사례 발생
□ 학교우유급식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취약계층 학생들이 거주하는 주소지 행정복지센터에서 카드형태의 우유바우처를 발급하고, 학생들이 편의점·하나로마트 등에서 국산 유제품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개편해 나갈 계획
º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지난해 지자체 공모를 통해 경기, 인천, 대전, 강원, 충남, 경북, 전북의 15개 시·군·구를 우유바우처 시범지역으로 선정. 3월부터 해당 지역의 약 2만 5000명의 학생들에게 우유바우처를 공급할 계획
□ 아울러 농식품부는 관련 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학교우유급식 사업을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우유바우처 사업으로 전환할 방침
'sharing > 복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자] 더 쉽고 편해지는 '코레일톡' (0) | 2023.02.28 |
---|---|
[알자] 지하철에서 책 빌리고 도서관에서 가상현실 체험 (0) | 2023.02.27 |
[알자] 어디에도 없는 광주만의 돌봄서비스 시작 (0) | 2023.02.26 |
[알자] 독거노인, 장애인 가구에 응급안전 장비 설치 외 (0) | 2023.02.26 |
[알자] 맞춤형 재취업 지원서비스 & 중장년 맞춤 직업교육 개발 (1) | 2023.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