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대표 복지포털 '복지로' , 금융위원회 블로그에서 발췌, 인용했습니다.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 '청년도약계좌'가 6월 중 출시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정부기여금 비율, 청년내일채움공제/청년희망적금과의 중복 가입 여부 등 운영 방향을 총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 (WHAT) 청년도약계좌란?
○ 매달 일정 금액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지원금과 은행 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 시 수령 가능한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 상품
○ 가입자가 매월 40만∼70만원을 적금 계좌에 내면 정부가 월 최대 2만4천원을 더해주고,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을 부여해주는 게 핵심
□ (WHY) 왜 출시되었나요?
○ 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
□ (WHO) 신청 대상은?
○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한 만 19~34세** 청년
*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 개인소득 6,000~7,500만 원,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도 가입은 가능하나 정부 기여금 지급없이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 부여
□ (HOW) 자산 형성은 이렇게!
○ 본인 납입금 + 정부 기여금 + 금융기관 이자
-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정부 기여금 지원/ - 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 적용
□ (HOW) 정부기여금은 개인소득과 납부 금액에 따라 달라요!
○ 개인소득에 따른 기여금 지급한도와 매칭비율
○ 금융기관 금리는 3년 고정+2년 변동
- 취급기관별 금리수준은 금융협회 홈페이지에 공시 예정/ - 저소득층 청년(예:2,400만 원 이하)은 우대금리 부여
□ (WHERE) 어디서 신청하나요?
○ 청년도약계좌 상품 취급 금융기관(추후 공고)
□ (WHEN) 신청은 언제부터?
○ 2023년 6월 중 접수!
□ 청년의 자산 형성을 위한 연계 지원!
○ 저소득층 청년 지원을 위한 복지상품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 등을 위한 고용지원 상품 동시가입 허용,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
○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또는 중도해지 후 청년도약계좌 순차 가입 허용, 청년희망적금
○ 상품 만기 이후에도 자산형성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
- 정책상품 이용 시 우대금리 제공 / 납입내역 개인신용평가 가점 반영 / 금융교육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
'sharing > 복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학기 늘봄학교 시범운영 100곳 추가…돌봄 대기 줄인다 (0) | 2023.06.04 |
---|---|
공공어린이재활병원 대전에 최초 개원 (0) | 2023.06.04 |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서비스 찾기 (0) | 2023.04.23 |
복지로 도움요청 (0) | 2023.04.22 |
서울청년문화패스_20만원 문화이용권 신청 (0) | 2023.04.22 |
댓글